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파이썬] 변수(variable) 생성2_복합대입연산자(+=, -=, *= 등)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귤이에게는 1000원이 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수입과 지출이 발생했다.

 

 

귤이에게 지금 얼마가 있는지 파이썬 연산자를 사용해서 구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1) 우선, 1000원에서 8월9일의 수입 100원을 더해야 한다. 1000+10

(2) (1)의 결과값에 8월10일의 지출 50원을 뺀다. (1000+10)-50

(3) (2)의 결과값에 8월 11일의 수입 300원을 더한다. {(1000+10)-50}+300

(4) (3)의 결과값에 8월 12일의 지출 300원을 뺀다. [{(1000+10)-50}+300]-300

 

즉, 앞의 결과값에 다음 연산을 대입하여 계산하는 것이다.

파이썬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쨘~

 

복합대입연산자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A는 숫자이다.)

 

 

 

 

이야기를 하나 만들어보자.

나에게 1,000원이 있었는데 엄마에게 용돈 500원을 받았다. (1000+500=1500)

학교에 가는 길에 편의점에서 400원짜리 과자를 사먹었다. (1000+500 -400 =1100) 앞의 결과값에서 400을 뺐다.

 

 

남은 돈을 은행에 넣었더니 이자가 10%가 붙었다. (1100*1.1=1210)

 

 

용돈을 5개의 돼지저금통에 나눠서 넣어두기로 했다. (1210 / 5 = 242)

 

어느 날, 집에 3명의 조카들이 놀러왔다. 그리고 조카들이 돼지저금통 하나를 발견했다.

돼지저금통 하나에 들어있는 돈을 조카 3명에게 똑같이 나눠주고 나면 얼마가 남을까? (242 % 3)

 

 

'2밖에 안남다니... 남은 금액의 10제곱만큼 남으면 좋겠다!' 라고 상상해본다. (2**10 = 1024)

 

 

 

위 내용을 한번에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